1.Time-oriented Perception of Environment design
2.명성황후의 가락지가 의미하는 것
3.전통 한지의 일상용품화 방안 연구
4.부작으로서의 장신구 연구 - 합격기원 장신구 개발 연구 사례를 바탕으로
5.임원경제지의 상택지, 이운지, 섬용지 부분 참고 문헌 특성
6.규방공예의 현대적 활용가능성 연구
발행일 2010년 7월 31일
발행인 최경란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소장
Editorial 김개천 (편집위원장, 국민대학교 교수)
Board 조현신(국민대학교 교수), 강현주(인하대학교 교수), 유부미(상명대학교 교수), 채승진(연세대학교 교수),
채민규(명지대학교 교수), 윤지영(동서대학교 교수), 김 신(월간 디자인 편집장), 김옥철(안그라픽스 대표)
박영순(연세대학교 교수), 이상해(성균관대학교 교수), 전봉희(서울대학교 교수), 안상수(홍익대학교 교
수) ,장수양(칭화대학교 교수), Yoshihiko Terahara(무사시노 미술대학 교수),
Keiichi Sato, Judith Gregory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e 교수)
1.Time-oriented Perception of Environment design
Abstract
Time-oriented Perception of Environmental design is based on the foundation of time and space. Following then key perception of environmental esthetics, design puts emphasis on the time-oriented experience. Because of the unique understanding of time and space in Eastem culture, Chinese traditiona1 architecture is the manifestation of this perception.
2.명성황후의 가락지가 의미하는 것
국문초록
“손가락에 끼우는 둥근 두 개의 고리”로 설명되는 가락지는 우리나라 고유의 장신구이다. 본 논문을 통하여 서양문물이 쏟아져 들어오던 19세기 후반 근대화 과정에서 우리 전통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조정의 노력과 결집력을 명성황후의 가락지로 비춰본다.
명성황후의 가락지에서 다음 세 가지 중요한 의미를 찾아 낼 수 있었다.
• 나라를 지키고자 하는 명성황후의 책임감과 의지력을 엿볼 수 있었다.
• 우리나라 가락지는 신분에 관계없이 일반화 되어 있었으며, 몸을 치장하는 장식적 기능보다는 가족의 평안과 염원,
기원이 담겨있는 부작(符作)의 기능이 우선 된다.
• 가락지는 우리 생활 문화를 대변하는 대표적 문화 아이콘이다. 따라서 물질적 가치로 대변되는 현대 보석, 귀금속산업의 맹점을 보안해 줄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연구 되어야 한다.
Abstract
3.전통 한지의 일상용품화 방안 연구
국문초록
현대 산업 사회의 사회적 구조가 점점 복잡해지고 각 개인의 취향과 생활 패턴이 다양화되면서 소비자 취향의 질적 수준이 높 아지고 새로운 욕구가 생겨나고 있다. 특히 20세기 후반 들어 사회적 책임과 환경의식, 수준 높고 개인의 미적 가치를 충족시킬 수 있는 포괄적인 제품을 요구하고 있는 현상이다.
한지는 과거 동아시아 지역에서 오랫동안 일상 생활용품의 재료로 빈번히 사용되어 왔다. 특히 종이로 여러 생활용품을 만들어 사용한 것은 우리나라 문화의 대표적 특징이었다. 그러나 산업화 과정을 겪으면서 한지는 생활용품에서 거의 영역을 잃었고 양지에 밀려 쇠퇴하여 산업화 과정에 적응하지 못하고 그 사용이 미약해져 버렸다. 환경 친화적 소재로서 한지는 목재, 섬유, 가죽 등의 전통 천연재료처럼 현대화하여 개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근래에 들어 한지는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여 새로운 활용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한지는 닥 섬유의 성질과 제작 방식으로 인한 결합으로 질김과 공기의 흐름, 빛의 산란, 수분 조절, 내구성, 유연함, 부드러운 질감과 색상 표현 등의 우수한 성질을 가진 천연 소재이다.
천연 소재인 한지와 한지 용품은 다품종 소량 생산으로 변화, 개인의 취향이 중시되는 사회, 환경 문제에 직면한 세계와 같은 현재 사회의 흐름 속에서 일상용품의 재료로 전통 한지의 일상화 가능성은 충분하다. 그리고 자연친화적이고 지속가능성의 대안의 일부분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도 내재되어 있다. 한지의 우수한 재료적 성질과 미적 성질, 전통적이고 감각적인 성질이 더해진다면 현대 일상용품의 디자인의 수준을 높이고 이를 풍부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Hanji, a Korean traditional paper, has been used widely for everyday commodity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parts of East Asia in the past. In particular, the use of paper material for household and staple goods a typicaI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But since the modernization, Unlike other natural materials Hanji was not able to be adapted to modern industrial society. Modernization and westernization of Korea has witnessed the decline of Hanji. However, like other natural and traditional natural materials, Hanji has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and used for modernized usage. Recently, Hanji has been gaining attention again and new studies on Hanji have been conducted for new utilization techniques. Hanji is a wonderful natural material known for its toughness, ventilation, light effects, moisture control, flexibility, softness, texture and color variation as a combination of mulberry fibers and manufacturing methods.
In conclusion, due to smalI quantity batch production, the importance of individuals’ preferences, and current environmental issues in today’s society, the natural material of traditional Hanji and its products have potential to be used in the daily lives of people and to make everyday consumer goods. There is the potential for factors such a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ustainability to be applied as alternatives in Hanji products. Teh combination of Hanji’s superior material properties, aesthetic characteristics, traditional and sensible properties can be expected to not only has high level of designs of modern commodities but also, enhances the practical use of Hanji in people’s lives.
4.부작으로서의 장신구 연구 - 합격기원 장신구 개발 연구 사례를 바탕으로
국문초록
수학능력시험, 각종고시, 자격증 시험 등 우리는 크고 작은 시험을 앞두고 심리적 부담감과 스트레스로 인하여 정신적 위기 심리상태에 놓이기 쉽다. 우리 주위에는 수험생들을 위해 다양한 합격기원 상품들이 선보이고 있지만, 장신구의 경우에는 디자인적으로 완성도가 높은 상품보다는 기존의 상품에 단순히 의미만을 부여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합격기원 장신구의 체계적 개발은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며, 이를 위해 디자인의 단계에서부터 부작적 의미를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개발하고 판매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장신구가 심리적 안정감을 도울 수 있다는 부분은 앞으로 여러 가지 정확한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을 통하여 확인해야 될 점이며, 이를 위해 향후 추가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We are easily placed on a state of mental crisis due to psychological burden and stress facing big and small exams such as Scholastic Ability Test, various state examinations and exams for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etc. Although various types of merchandises to wish for passing exams are being displayed around us for examiness, most jewelry have simply given significance to existing merchandises rather than having completeness in their design. Therefore, a systematic development of jewelry to wish for passing exams is the problem that must be solved immediately while various forms of products would have to be developed and sold by applying the amulet-oriented significance from the designing stage to make this possible. Also, the aspect that accessories can be helpful for mental stability is something that would have to be verified through coIlection and analysis of various types of accurate data while the additional research would have to be steadily performed to make this possible.
5.임원경제지의 상택지, 이운지, 섬용지 부분 참고 문헌 특성
국문초록
문헌 저술 시, ‘참고(參考)를 한다는 것’은 저자의 판단 아래, 모범과 당위성을 확보한다는 전제가 있이다. 이 때문에 참고 문헌 자체는 저자의 사상과 당시 시대적 인식을 엿볼 수 있는 가치를 지닌다. 본 논문은 디자인 분야에서 재해석되는 고문헌의 전통 문화를 차용하기에 앞서 조선 후기 대표 문헌인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참고된 문헌을 살펴봄으로써, 그 속에 담긴 특성을 인식하고자 하는 사전 작업이다. 디자인 분야에서도 고문헌에 대한 관심 증가와 응용 활동이 다양하게 전개됨에 따라 조선 후기에 저술된 서유구의 <임원경제지>의 활용도 역시 상당하다. <임원경제지>는 사회, 문화, 식생, 건축 등 내용의 범위가 총체적이고, 농민에서부터 상류 문인에 이르기까지 적용 대상을 확장하여 독자의 폭을 넓히고 있다. 또한 그 목적성이 단순한 백과사전식 기술 전수형 농서를 넘어 문인의 품위 있는 생활 유지를 위한 지침서로까지 확장된 성향을 갖고 있어 다양한 관점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성향을 토대로, 본 논고는 <임원경제지>의 16항목 가운데 공간 디자인과 관련이 깊은 상택지(相宅志), 이운지(怡雲志), 섬용지(贍用志) 부분의 참고 문헌 성격을 확인하여 조선 후기 문인에 미친 영향력을 알아본다. <임원경제지>의 참고 문헌을 살펴봄으로써 내용의 원류 및 수용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문화적 아이덴티티(Identity)를 갖는 컨텐츠(Contents) 개발 발전에 있어 좀 더 정제된 시선과 관점으로 조선 후기 문화상 이해에 일조할 수 었다.
Abstract
6.규방공예의 현대적 활용가능성 연구
국문초록
규방(閨房)이란 사전적으로 부녀자가 거처하는 방이다. 과거 한국 여성들의 사회 활동이 남자들과 달리 자유롭지 못했던 시절, 규방은 옛 조선여인들이 그들의 지위가 높고 낮음 또는 기혼, 미혼에 상관없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냈던 장소이며 그들의 희로애락이 묻어나는 장소였다. 옛 조선여인들은 이러한 사회환경 속에서 그들만의 창의적이며 아름다운 문화를 만들어냈는데 이를 규방문화라 하고 전통시대의 여성문화를 대표하는 말이 되었다. 남성 중심적인 유교문화 속에서 규방문화는 다소 절제되고 소박하며 인간적인 문학과 예술로 성장하였다. 또한 그들이 사용하는 제품들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기도 하였는데 이 시기 여성들이 직접 제작한 전통 수공예 생활용품을 규방 공예라 부른다. 현재 남아있는 규방공예품들을 살펴보면 디자인 또는 미술교육이라고는 전혀 받아 본적이 없는 그 시기 여성들의 작품이 놀라울 정도로
아름답고 독창적이며 현대적이어서 감탄이 절로 나오기도 한다. 이러한 작품을 현대의 디자이너들이 자신들의 작품과 제품에 응용하여 좋은 효과를 보는 경우가 많이 있다. 옛 여인들이 만들어낸 그들만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현대에 활용하여 좋은 성과를 이루고 있는 예를 바탕으로 규방공예의 현대적 활용가능성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Abstract
By definition, a boudoir was a place where women used to live. Historically, unlike men, Korean women were restricted from free social activities. A Boudoir is a place where women spent most of their time regardless of their social class or marital status. It is a both a place of happiness and sorrow. Korean women of the past have created their own unique and beautiful culture in this social environment. It was called a Boudoir Culture. In the male-oriented Confucian culture, the Boudoir Culture has become a rather temperate, human culture and art. Some women also made house-wares for everyday use. These house-wares made by women of the times are called Boudoir Craftwork. The preserved Boudoir Craft work is beautiful, creative and innovative. It is incredible that theses wares were made by women who didn’t receive any design or art education. Furthermore, modern designers have gained successful evaluation by implementing their techniques. By introducing the unique beauty that Korean women of the past have created, this thesis will provide case studies that have gained a positive evaluation for implementation our in modern artwork.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beautiful and individuaIistic craftworks of women in past times and study their possibilities of modern application.
저널보기 링크 클릭 :
편집,진행 정미선 전임연구원
ISSN 2092-626X
- CONFERENCE
- WORKSHOP
- EXHIBITION
- PUBLICATION
- OD BRAND
- ACTIVITY
-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