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3-1.jpg



1. Unity of Sentimental and Scene - The Association of Architecture with Landscape in Korea

2. The Context of Traditional Chinese Residence

3. 바람과 흙; 동아시아 문화의 정체성

4. 동양의 인의예지 사상으로 본 전통의 일상공간에 나타난 생활문화 요소

5. 중국 지방 사합원의 의장요소와 상징성 - 산서성 정촌을 중심으로

6. 주생활과 공간구조의 관계에 따른 쿄마찌야 분석


발행일       2011년 7월 31일

발행인       최경란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소장

Editorial      김개천(편집위원장, 국민대학교, 교수)

Board        유부미(상명대학교 교수), 채승진(연세대학교 교수), 윤선영(인천카톨릭대학교 교수)

                 백은(홍익대학교 교수), 윤지영(동서대학교 교수), 차승화(한양사이버대 교수)

Advisory Board 

                국내

                박영순(연세대학교 교수), 이상해(성균관대학교 교수), 권영걸(서울대학교 교수)

                국외

                Zheng Shu Yang(Prof. Tsinghua University), Yoshihiko Terahara(Prof. Musashino Art University),

                Keiichi Sato(Prof. Illinoise Institute of Technoogy), Judith Gregory(Prof. Illinoise Institute of Technoogy)

편집, 진행  성윤정 전임연구원

ISSN           2092-626X




1. Unity of Sentimental and Scene - The Association of Architecture with Landscape in Korea

영문초록

Through the cases of 1) outdoor pavilions, study halls and Confucian Academies and 2) Changdeokgung Palace and Rear Garden in Korea, this study maintains that from early on Koreans developed a philosophy of architecture as one with nature, and ultimately one with human beings. Under the Confucian system of thought, architecture formed in this way represents the unity of “sentiment” and “scene.” 
The unity of sentiment and scene represents movement beyond the state of projecting the individual world view on the object to reach the state of expressing the world view sought by the individual in the projected object. This association of architecture with human virtue leads to the state of unity of heaven and humankind, where the subject and object are one. This is the highest state, which enables architecture and nature to achieve harmony and coexist.



2. The Context of Traditional Chinese Residence

영문초록

“Pan-residence” or the pursuit of the universality of architecture is a tendency in the traditional Chinese architecture. With residence as sample, the article clarified several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architecture through organizing the information about traditional residence. Traditional Chinese residence attaches importance to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geometrical position and social rank; in terms of spatial form, the traditional Chinese residence is characteristic of outward closure and inward openness; for the architectural ornament, there is clear level restrictions besides the lucky culture. The article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Yin-Yang, five element theory and Feng-Shui. Based on this theory, traditional Chinese culture established an environmental system of universal connection, through which built up a unique ancient Chinese architecture system. In the end, the article briefly introduced the private garden which is co-existent with residence, explaining the value of traditional Chinese private garden on the theory of culture that complements mutually.



3. 바람과 흙; 동아시아 문화의 정체성

국문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바람」과「흙」이라는 두 개의 한자를 더한 풍토(風)_(土)를 통해서 동아시아 문화의 아이덴티티를 제고하는 데에 있다. 풍토란 각 지역에 뿌리 내린 자연과 문화를 의미하여 그 중에서 바람풍(風)은 항상 흐르는 정보이며, 흙(土)은 그 지역에 기인한 ‘축적된 기억의 집적’ 이라 할 수 있다.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생각하기 위해서는「바람=정보」는 지역끼리의 사상이나 문화의 교류를 의미하고,「흙=역사」는 자연과 토착적인 문화를 의미하고 있다는 데에 중요한 시점(視點)이 있다. 동아시아의 한국, 중국, 일본은 각각의 문화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고 있으며 동시에 3개의 나라들에 공통된 문화의 아이덴티티가 있다. 지금의 시대가 글로벌 시대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각각의 아이덴티티를 생각하는 것보다 동아시아의 공통된 아이덴티티를 생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무리(群, group)의 사상」은 서양에 대한 동아시아의 중요한 문화의 특징을 표현하는 것이다. 대략적으로 말하면, 서양의 사상에는 일신교(크리스트교)의 가치관이 뿌리 깊게 있고, 동양의 사상에는 다신교의 사상(애니미즘)과 자연주의의 사상이 뿌리 깊다는 것이다. 서양에서는 일신교(크리스트교)가 철학이라고 하는 「거대한 나무」에 비유할 수 있는 사상 체계를 떠받드는 생각이 지배하고 있는 것에 반해, 동아시아에서는 자연과의 일체감으로부터 「생물끼리의 대등한 관계」나 「인간끼리의 대등한 관계」가 세계관이 되는 「숲의 사상」이 지배하고 있습니다. 관계의 중심적 존재를 갖는 「일신교(크리스트교)의 사상」에 반해서 「각각이 중심이 되어서 연결되는 관계」가 지배하는 사상이 동아시아의 사상입니다. 또한, 무리를 만들어 내는 「복수의 개(個)가 조화를 유지하는 전체」를 위해서 「사이(MA)」의 개념이 있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의 사이나, 일과 일의 사이에 「사이」가 중재해 전체성을 만들어 내는 발상이다.


일문초록

風と土」というキワドの元に、東アジアの文化とデザイン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模索するのが今回の大きなテマでした。「風」と「土」の二つの漢字を合わせると「風土」です。それぞれの地域に根付いた自然と文化を風土というのですが、その中の「風」は常に流れる「情報」であり、「土」はその地域に根ざした「蓄積された記憶の集積」です。地域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考えるためにこの「風=情報」は地域同士の思想や文化の交流を意味し、「土=歴史」は自然と土着的な文化を意味していて重要な視点を与えてくれます。東アジアとは「中国と韓国と日本」を差しますが、この3つの国には歴史的に緊密な情報の行き来があり、3つの国の地理的関係にも興味深いものがあります。 
「群れの思想」は西洋に対して東アジアの重要な文化の特徴を表現しています。 
大まかにいいますと、西洋の思想には一神教(キリスト教)の価値観が根強くあり、東洋の思想には多神教の思想(アニミズム)と自然主義の思想が根強いということです。西洋では一神教が哲学という「巨大な樹」に喩えられるような思想体系を重んじる考えが支配しているのに対して、東アジアでは自然との一体感から「生き物同士の対等な関係」や「人間同士の対等な関係」が世界観となる「森の思想」が支配しています。関係の中心的存在を持つ「一神教の思想」に対して「夫が中心となって結ばれる関係」が支配する思想が東アジアの思想です。群れをつくりあげる「複数の個が調和を保つ全体」のために「間」の概念が育ちました。人と人の間や、事と事の間に「間」が介在して全体性をつくりあげるという発想です。



4. 동양의 인의예지 사상으로 본 전통의 일상공간에 나타난 생활문화 요소


국문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전통의 일상 생활양식에 나타난 문화적 요소를 동양사상의 인의예지 관점에서 보고자 한다. 동양사상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연구범위는 인간본성의 기본 덕목인 인의예지(仁義禮智)로 설정할 것이다. 전통 주거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사용자의 공간에 대한 태도, 습관, 공간이 주는 의미와 상징, 기능과 역할로서 문화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인의예지(仁義禮智)라는 사람의 본성은 도덕적 원리의 근본이 된다. 조선시대에는 유교의 형이상학적인 이념을 근간으로 하여 인간과 자연, 사회의 유기적인 관계를 실천하는 사회질서가 구축되었다. 
전통주거공간에 형성된 동양사상의 개념은 효의 실천, 남녀유별, 위계질서의 형성이다. 공간에 대한 태도와 습관은 반복을 통한 의례와 같은 무의식적인 행위이며, 그것은 일상화되고 습관화된 생활양식으로 나타난다. 전통주거공간이라는 가시적인 존재는 인간의 행위에 따라서 생활, 의례, 접객의 공간이 되며 그것은 비가시적인 존재인 성리학적인 이념을 포함한다. 문화와 여가를 가정 이외의 공간에서 찾음에 따라, 경제생활이 생계를 위한 활동으로 되면서 소비가 일상이 되었다. 게다가 예를 통한 유희와 사회적 교류로서 지식의 인식은 동양사상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의 일상 생활방식에 나타난 문화적 요소는 생활로서 인의(仁義)를 통한 태도와 습관, 의례로서 예(禮)를 통한 유희, 지(智)를 통한 사회적인 교류로서 접객이다.


영문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a cultural factor from a point of view eastern philosophy in the traditional everyday life. Because of extensive range of eastern philosophy, scope of the research is set as a In-ui-ye-ji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rituals, knowledge)that is primary virtue of the human being. By targeting traditional living spaces, it was analyzed cultural factor as a attitude, meaning & symbol, function and roles about spaces. The nature of In-ui-ye-ji is the moral principles. Since the Joseon Dynasty, social order practicing of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human, nature, and society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metaphysical philosophy of Confucianism such as Neo-Confucianism. 
The concept of eastern philosophy is a practice of filial piety, distinction between the genders, the formation of social hierarchy on the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The attitudes and habits for space is unconscious behaviors such as ritual acts through repetition and it appears as a habitual daily lifestyle. The tangible presence of a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becomes life, therefore, courtesy and hospitality space for the conduct of human. According as culture and leisure is outside the home and the economic life to make a living, consumption was daily. Also, The role of rituals and recognition of knowledge can be allowed a value of eastern philosophy. 
Accordingly, a cultural factor in the traditional way of life were as follows: It is the attitudes and habits through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amusement through rituals and the symbol of cultural- politics as a social interaction through knowledge.



5. 중국 지방 사합원의 의장요소와 상징성 - 산서성 정촌을 중심으로

국문초록

중국 사합원 형태의 주택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형태이다. 그 중 산서성의 사합원을 중심으로 의장요소와 상징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차 자료로 중국원본 李秋香의『정촌』(2007, 청화대학 출판사)을 참고하였으며, 그 밖에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중국 사합원의 의장 요소와 상징성을 정리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로는 지붕 벽 문을 위주로 하였다. 결과적으로 정촌 사합원의 의장요소는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고. 각 의장요소는 신분의 표시보다 그들의 소망이나 미래의 바람을 나타내고 있다. 의장요소는 중국인들의 심미적 예술적 요소와 결합하여 정촌인들의 행복한 삶을 추구한 의장형태라 할 수 있다.


영문초록

The Chinese house of Sahapwon type is on a national scale. This thesis with shanse Jeong Cun sahapwon as the center, study on the Design Method and symbolic meaning. This thesis did analysis refer to the Chinse original text Li Chu Hyang's book 『Jeong Cun』(2007, chenghua university publisher). Especially Jeong Cun did sxpress their wish and the future hope. The Design Method chinese exprssed conjointly with the Aesthetic Exterior Design Factors of Apartment. Finally the Design Method include symbolic meanings for good life of the Jeong Cun people.



6. 주생활과 공간구조의 관계에 따른 쿄마찌야 분석

국문초록

주거 건축은 그 당시의 문화적 산물이며,주거환경의 문화적 차원은 주거 공간의 사회적 측면 또는 주거공간과 사회와의 관계를 통해 공간의 기능 수립과 공간의 구성 및 형태가 형성되며 상호간의 연결관계를 연구하는 것은 이 주거 공간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뿐 아니라 필수적 이라 할 수 있다 일본의 전통주거 건축의 공간 구조에 대한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일본의 쿄마찌야(京町家)를 대상으로 객관 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주거 공간의 전체 구성의 위상학적,형 태학적인 해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생활 행위와 전통주거건축의 공간구성의 관계적 속성을 파악하고 특정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공간구성 형태 또는 형상의 특정을 정량화하여 상호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사회문화적인 배경의 차이에 의해 형성 된 일본의 전통주거의 건축공간 구성 형태를 객관적인 지표를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먼저 분석대상 사례들의 볼록공간도들을 각각 작성하고 이로부터 위상연계 도를 추출 한다. 추출된 위상 연계도들로 부터 공통된 유전자형을 추출 하고, 이에 대한 공간기능을 파악하여 공간적 구조의 개념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영문초록

The traditional townhouse forms and architectural elements within and around Japanese traditional townhouses are an extension of cultural principles employed in dwelling setting and organization. Wlen examined at in tandem, they offe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of these elements to traditional values and attitudes in terms of how and Wny traditional townhouse spaces were organized. Traditional dwelling floor plans form the corpus of this study, and are used to explore the extent to Wnich culture information might be present i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ir spatial layouts. Space syntax methodology is a graph-based theory prooedure intended to analyze nodal diagrams of plans to arrive at the cultural norms behind the morphology of buildings. Such a configuration of space identifies patterns that can be used to study spatial configurations and activities. In this paper, space syntax is used to examine the spatial morphology of traditional townhouse of kyoto, based on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variation in spatial configurations and behavioral directives present in SOCiety-spatial relations are reflected in the spatial configurations of traditional townhouse. Thi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ting how architecture can be used to identify enduring activities and spatial configuration.


논문전체보기 링크 클릭 :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3a11008f85f7c51d&control_no=7d92ebe16f0d24fa#Redir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