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shop 2011 Tachikawa.jpg

 

오늘 디자인의 변화에 대한 저의 시각을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다. 또한 디자인 변화에 대한 관측을 통해 우리는 디자인의 미래가 어떤 것인지 예측해 볼 수 있을 것이며. 또 재미난 것은 이러한 디자인의 변화가 코리안 타워의 컨셉과 매우 비슷하다는 것이다.
저는 디자인이 무엇인가, 어떻게 디자인 할 것인가, 누가 디자인이 필요한가, 그리고 언제 어디에서 디자인이 사용되는지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가장 본질적인 디자인이 무엇인가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된다. 여러분 대부분은 디자인과 관련이 있는 사람들일 것이다. 그러니까 모두들 한 번쯤은 생각해 보셨겠지만. 디자인의 원류가 무엇인지 다들 알거라고 생각된다.
디자인이라는 말은 라틴어의 데시나레에서 왔으며 making sign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니까 디자인은 사인에서부터 왔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저는 이러한 의미에 대한 강한 의심이다. 물론 디자이너에겐 중요한 의미이다. 이러한 종류의 디자인의 의미는 폼과 관련이 있으며 폼과 디자이너는 직업의 이름이라 할 수 있고 디자인너의 눈에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제가 느끼기에는 지금 이것이 변화하고 있다. ‘눈에 보이게 하라‘에서 ‘눈에 보이지 않게 하라‘로 말이다.

 

Tachikawa Eisuke01.jpg

 

이것이 제가느끼는 변화의 컨셉이다. 예를 들어서, 눈에 보이는 디자인은 일상적 디자인이라면, 우리는 문화, 환경 등을 디자인에 주입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은 보이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오리엔탈’의 컨셉에 대해 생각해보면. 여기서 강한 동질성을 느끼는데, 예를 들면, A라는 사람이 피부병이 있는데 유럽식 병원에 가면 질병을 가지고 있는부분을 정화할 수 있는 약을 준다. 근데 한의원 같은곳을 가면 피부병 치료를 위해 위장약을 준다. 이것이 합리적인 것은 한의원 같은 곳의 치료는 보이지 않는 내면을 정화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곳에는 피부병이 난 것의 원인이 장기에 문제가 있다고 본 것이고 서양 병원에 가면 피부에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저는 이러한 오리엔탈적 관점이 이렇게 보이지 않는 것과 관련이 깊다고 생각한다. 

 

Tachikawa Eisuke02.jpg

 

첫 소개 드리는 작품은 쥬얼리 디자인이다. 제가 일본 고고학 관련기관에 요청 받았을 때, 처음 요청 받은 것은 쥬얼리를 만들어 달라는 것이였다. 그러나 거절했다. 실패할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가 디자인 한 것은 재료(Material) 그 자체였다. 위에 팔찌가 있는데, 안에 끈이없다. 또 이어링도 마찬가지다. 여기 팔스는 언메딕이다 (뭔가 보여주고 있음) 저는 안에 자기력이 있는 새로운 재료를 만들었다. 당신은 이것을 팔목에서 손가락까지 교체할 수 있고, 더 연결해서 목걸이를 만들 수 도 있다. 이것은 재료의 발명에서부터 가능한 것이고 또한 이것은 경제와도 관련이 있다. 비즈니스에 있어서 쥬얼리 브랜드 시장에 들어가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저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시도했다. 디어링 머티리얼과 디어링 프로덕트 양 쪽 모두를 고려한 모델이다. 스와로브스키 처럼 말이다.

다음은, 어떻게 디자인 하는가? 이다. 지금 이 2가지 보이는, 보이지 않는 디자인은 쿠팟 오브 디자인이다. 여러분이 이 복잡한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분리해서 보는 편이 낫다. 당연히 보이는 디자인이 먼저 보이실 텐데, 이것은 에스테틱과 관련이 있다. 당연히 미는 모든 곳에 있다. 디자인에 뿐만 아니라, 예술이나 연구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오늘날 우리가 레드앤 그레이프 스케이프에 가면, 그 것들은 정말 아름답다. 아무도 이것이 디자인이 아니라고 말하지는 못 할 것이다. 그것은 정말 레어한 디자인이다. 그러나 그곳에 디자이너가 있거나, 그들이 그것을 디자인이라고 부르는지는 확신하지 못한다. 그러나 그곳에는 많은 아름다운 salt가 있고, 여러 가지관점에서 다양한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achikawa Eisuke03.jpg

 

예를 들어 이것은 홍콩에서 개최한 전시회이다. 정부가 개최한 홍콩 빅토리아 프리즌 이며, 제가 한 것은 홍콩 도시에서 쓰이는 일반적인 유리를 배치한 것이 전부이다. 그리고 물을 넣었으며 여기에 모든 것은 특수한 것들이 아니다.
탁자 위에 유리컵을 올려놓는 다던가, 거의 같은 재료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로, 당신이 전혀 보지 못했던, 전혀 알지 못했던 그리고 무언가 미와 관련된 것을 만들었다. 예를 들어 당신이 집에있는 후라이팬을 끓인 다던가 뚜껑을 열 때 수증기와 매우 비슷하다. 이것 처럼 말이다. 우리는 많은 아름다움들에 둘러싸여 있으며. 당신이 어떠한 관점을 얻는 다면 이것은 무엇인가 알지 못하던 새로운 것으로 바뀔 것이다.

 

Tachikawa Eisuke04.jpg

 

여기 또 다른작품이다. 부띠끄 안의 거울이 그와 함께걷는데, 프로덕트 디자인으로써 만들었다. 콜렉션 탭은 산트와 블라드이다. 저는 이것을 강한 느낌으로 하고자 했고 코로나처럼 만들었다. 우리는 이미 이러한 종류의 모양을 알고 있으나 그러나 우리는 이것을 거울로써 알지는 못하였다. 이 모든 그림은 기하학의 완전한 사각형에서 비롯된다. 이 것들은 각각 다른 사이즈의 사각형들이다. 내부에는 하나의 또 다른 도형이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 기하학은 세상에서 단 3번 발생한다. 그래서 이것은 완전한 사각형이라고 불린다.
그래서 저는 이 사각형을 외계인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고 말한다. 또는 어떤 지적 생명체다. 왜냐하면 3번을 제외하고 세상에는 이러한 종류의 기하학이 없기 때문이다. 나는 어떤것을 시간을 초월하게 만들고 당신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Tachikawa Eisuke05.jpg

 

그래서 저는 모형을 빌렸던 것이다. 제 자신을 초월하기 위해서... 그리고 보이지 않는 디자인을 생각해보면, 이것은 관계의 디자인 혹은 참여의 디자인이다. 예를 들면 당신은 지금 자리에 앉아있고, 그 자리와 따라서 그 자리와 좋은 관계가 있다면 좋은 디자인이라 할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좋지 않은 디자인이다. 관계를 발견한다는 것은 보이지 않기에 어려운 일이다. 당신 자신만의 관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몸은 이러한 관점에서 관계를 발견하는 것에 열쇠가 된다. 당신에게는 몸이 이외에 다른 감각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신은 취향, 습관, 재미, 몸의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문화나 정치는 알기에 너무 방대하다. 그러나 당신은 당신 내면을 볼 수 있으며 따라서 보이지 않는 것을 보기위해 당신 자신을 들여다보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를 통해 독자적인 관점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간단히, 당신은 당신이 필요로 하지 않는 디자인을 만들 필요가 없다는 내용이다. 

 

Tachikawa Eisuke06.jpg

 

 이것은 일본 회사의 K D D I 를 위한 프로덕트 디자인이다. 이것은 삶의 물방울이다. 사실 이것은 물방울이 아닌 핸드폰의 그립이다 . 사실 핸드폰은 물에 의해 망가지며 또한 손과 핸드폰은 관계가 그다지 좋지 않다 . 미끄러지기도 하 고 , 긁히고, 이 디자인을 저는 부정적인 면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했다. 또한 핸드폰을 보호하고자 하기도 했습니다. 저는 디자인이 보이는 것에서 보이지 않는 것으로 연결하는 것이라고 믿는다 . 또한 이 컨셉은 동양의 음양론과도 유사하다.

 

Tachikawa Eisuke07.jpg

 

 따라서 즐거운 일인 디자인을 통해 논리와 미의 연관 관계를 알 수 있기에 저는 이 직업에 애착을 가진다. 이것은 제가 디자인한 테이블이다. 저는 자라는 나무를 통해 기하학을 사용했으며, 이 기하학은 아름답고 생각된다. 매우 합리적이고 구조적이다. 그래서 이 구조는 다른구조에 비해 매우 가늘 수 있었다. 그리고 제가 디자인한 테이블을 하네다 국제공항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고도비키 회사의 외부 장식에 사용되고 있다.
누가 디자인을 필요로 하는가를 생각하면 그룹과 개인이었고, 그룹은 동양적 관점과 관련이 싶었다. 그리고 저는 이것이 미래의 디자인이라 말할 수 있었다. 이제 이것은 변화하고 있다. 누가 개인 고객을 위한디자인을 하겠는가? 우리는 이제 그룹에 초점을 맞춰야한다. 예를 들어 여기 아이폰이 있다. 이것이 프로덕트 디자인입니까? 예 그러나 이것은 또한 서비스의 디자인다. 서비스 디자인과 프로덕트 디자인은 그 어느 때보다도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 모든 프로덕트는 이제 서비스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 디자이너에게 있어서 이것은 또한 디자이너 메이커 사업가매스미디어, Shop, 등 의 영역을 넘나들게 한다. 일본의 대지진,, 제가 진행한 프로젝트는 많은 정보와 아이디어 디자인을 모으게 된다. 지진 이틀 후부터 시작한 이 아이디어는 빠르게 번져나가서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일본을 넘어 국제적으로 진행된 디자인이 되었다. 우리가 모은 것은 매우 심플하다. 예를 들면, 어떻게 간이 변기를 만들까 어떻게 물을 정화할까, 몸을 따뜻하게 할까 등등을 재료를 활용하여 생각하게 되었다.

 

Tachikawa Eisuke08.jpg

 

언제 디자인이 필요하게 되는가?
이제 이것은 프로세스를 변화시켰다. 디자인은 그 스스로가 결과이나 지속적으로 디자인을 하고 길을 열면, 타임라인 프로세스가 생겨나게 된다. 이것은 중요하며, 디자인은 예술 연구, 등등에 연결된다. 의심할 여지가 없이 예술이 디자인과 가깝다는 것은. 그리고 보이지 않는 것, 동양적인 것이 더 중요하며. 점점 그룹과 서비스가 중요해진다. 유러피안 문화에서 동양적인 문화로 가고 있고. 프로세스를 더 생각해보면, 신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에 대한 동양의 관점을 보면 신은 어디에나 있다라고 생각하며. 서양식 사고에 의하면 신은 하나라고 생각한다. 프로세스는 지속적이며 매 번 포인트가 존재하기에 더 어려울 수 있다.
왜 디자인인가?
디자인은 100여년 밖에 안되며 매우 어리다. 그러나 제가 믿는 것은 디자인이 우리 본능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프랑스의 월페인팅을 보면, 저는 그래픽 디자인이라고 본다. 아시아의 도자기 역시 프로덕트 디자인이고. 도자기를보면 프로덕트의 혁신을 볼 수 있다. 우리는 이미 본능적으로 디자인을 하고 있었던 것다. 따라서 디자인의 역사가 길진 않지만, 디자인은 자연적인 것이라 볼 수 있다. 우리가 언어를 말하는 것처럼 말이다. 그래서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 그리고 디자인을 생각해보는 것에 있어서, 저는 모든 이가 디자이너라는 말을 떠올려보고 싶다.